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뇌출혈의 네 가지 대표 유형(ICH, SAH, SDH, EDH)에 대해 알아보자

by 꾸파남 2025. 7. 3.

뇌내출혈 (Intracerebral Hemorrhage, ICH)
지주막하출혈 (Subarachnoid Hemorrhage, SAH)
경막하출혈 (Subdural Hematoma, SDH)
경막외출혈 (Epidural Hematoma, EDH)

🧠 1. 뇌내출혈 (Intracerebral Hemorrhage, ICH)

🔸 병태생리

  • 만성 고혈압 등으로 인해 소동맥이 약해지면서 파열되면 뇌 실질(parenchyma) 내부로 혈액이 스며듭니다.
  • 이 혈액은 주변 뇌세포를 압박하며 괴사를 유발하고, 뇌부종을 일으킵니다.
  • 혈종의 크기가 커질수록 두개내압(ICP)이 상승하여 뇌탈출 위험이 높아지고, 사망률이 증가합니다.

🔸 증상

  • 출혈 부위에 따라 다르지만, 대표적으로:
    • 운동피질: 편측 마비, 근력 저하
    • 언어중추(좌반구 브로카/베르니케): 실어증
    • 소뇌: 운동 실조, 어지럼, 보행 불안
    • 뇌간: 호흡불안정, 동공 이상, 혼수 (가장 위험)

🔸 진단

  • CT: 급성기에는 고음영 병변 확인
  • MRI: 출혈 시점이 오래된 경우에 민감
  • Coagulation profile: INR, PT, aPTT, 혈소판 수치 확인
  • 뇌압 모니터링 필요 시 ICP 센서 삽입

🔸 치료

  • 내과적: 혈압조절(140~160mmHg 목표), 만니톨/고장성 NaCl로 뇌압 감소
  • 외과적: 출혈량이 많거나 의식 저하 시 개두술 및 혈종제거
  • 뇌실배액술: 출혈이 뇌실을 침범한 경우

🔸 간호중재

  • GCS/동공/사지 움직임 등 신경계 사정 반복
  • 호흡기 관리: 필요시 기도 확보, 인공호흡기
  • 체위: 머리 30도 상승, 정중앙 정렬 유지
  • DVT 예방: 압박 스타킹, ROM 운동
  • 환자 및 가족 교육: 회복 과정 설명, 재활 연계

🧠 2. 지주막하출혈 (Subarachnoid Hemorrhage, SAH)

🔸 병태생리

  • 대부분 뇌동맥류 파열로 인해 발생합니다.
  • 혈액이 지주막하 공간으로 퍼지면서 뇌신경과 혈관을 자극 → 극심한 두통 + 뇌혈관 경련 발생
  • 경련으로 인해 2차 뇌경색 가능성 존재
  • 수두증 발생 시 CSF 순환 차단으로 ICP 급상승

🔸 증상

  • 갑작스러운 극심한 두통 (“벼락 같은 두통”)
  • 경부 강직: 뇌막 자극 증상
  • 구토, 의식 저하, 발작
  • 동공 비대/불균형, 복시
  • 심한 경우 혼수, 사망

🔸 진단

  • CT: 초기 출혈 확인
  • 요추천자(LP): CT 음성 시, CSF에서 혈액 존재 확인
  • 뇌혈관조영술(CTA, DSA): 동맥류 위치 및 형태 파악

🔸 치료

  • Clipping: 개두술로 동맥류 경부 결찰
  • Coiling: 혈관 내 코일 삽입으로 파열 방지
  • Nimodipine: 뇌혈관 경련 예방
  • 발작 예방 및 진통제 병행

🔸 간호중재

  • 두통 사정: NRS/VAS 도구 활용
  • 환경 조절: 자극 최소화
  • 침상 안정: 활동 시 재출혈 위험
  • 요추천자 후 6시간 이상 침상안정, 두통 모니터링
  • 뇌혈관 경련 징후 감시: GCS 저하, 편마비 등

🧠 3. 경막하출혈 (Subdural Hematoma, SDH)

🔸 병태생리

  • 경막 아래의 교량정맥(bridging veins)이 외상으로 찢어지면서 발생
  • 뇌 위축이 있는 노인의 경우 정맥이 당겨져 쉽게 파열됨
  • 만성형은 출혈이 느리게 진행되어 수 주 후 증상이 나타남

🔸 증상

  • 급성형: 두통, 구토, 반신마비, 의식 저하
  • 만성형: 혼동, 보행 이상, 치매 유사 증상
  • 노인: 매우 미세한 행동 변화로 나타날 수 있음

🔸 진단

  • CT/MRI: crescent-shaped hematoma (길고 평평한 음영)
  • 출혈 시기에 따라 영상 소견이 달라짐

🔸 치료

  • 소량 출혈: 경과관찰
  • 대량/증상 동반 시: 천공술(Burr hole) 또는 개두술
  • 출혈 재발 방지를 위한 혈압 및 응고 상태 조절

🔸 간호중재

  • 낙상 후 행동변화 주의 깊게 관찰
  • 신경계 평가: 인지기능, GCS, 보행
  • 배액관 관리 및 감염예방
  • 고령자 대상 반복적 설명, 재활 연계

🧠 4. 경막외출혈 (Epidural Hematoma, EDH)

🔸 병태생리

  • 외상으로 두개골이 골절되며 경막과 두개골 사이에 있는 중대뇌동맥(MMA)이 손상되어 발생
  • 동맥 출혈이라 출혈속도가 매우 빠름
  • 일시적으로 의식을 회복하는 lucid interval이 특징

🔸 증상

  • 두통, 구토, 한쪽 동공 확대
  • 편측 마비, 발작
  • lucid interval 이후 갑작스런 의식저하 → 혼수

🔸 진단

  • CT: 렌즈 모양의 biconvex 고음영
  • 빠른 진단이 생명 좌우

🔸 치료

  • 응급 개두술: 혈종 제거 및 출혈 부위 지혈
  • 수술 전까지 ICP 조절 매우 중요

🔸 간호중재

  • 외상 병력 확인 + lucid interval 여부 확인
  • 신경계 사정 반복
  • 동공, GCS, 활력징후 수시 확인
  • 수술 전후 감염 관리 및 혈압 조절

📌 전체 요약 정리

 

구분 위치 혈관 진행속도 대표증상 영상소견 치료 간호포인트
ICH 뇌실질 동맥/정맥 중간~빠름 마비, 언어장애 CT: 고음영 혈압조절,
개두술
GCS,
ICP 감시,
호흡관리
SAH 지주막하 동맥
(동맥류)
매우 빠름 벼락두통, 경부강직 CT, LP Clipping,
Coiling,
Nimodipine
자극 최소화, 경련예방,
침상안정
SDH 경막하 정맥 느림
(특히 만성형)
혼동, 치매 유사 CT: crescent형 천공술,
개두술
노인 행동변화 관찰,
낙상예방
EDH 경막외 동맥 매우 빠름 lucid interval, 편측 마비 CT: 렌즈형 응급 개두술 외상 병력 + 동공반응 감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