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산·염기 균형 기본 개념
🔹 pH란?
- pH는 수소이온(H⁺) 농도를 나타냅니다.
- 정상 혈액 pH: 7.35~7.45
- 7.35 미만 → 산증
- 7.45 초과 → 알칼리증
- 생명 유지에 필수적인 매우 좁은 범위
🔹 우리 몸은 pH 균형을 위해 어떻게 작동할까?
- 화학적 완충체계: HCO₃⁻(중탄산염), 단백질, 인산
- 호흡기계 보상: CO₂ 배출 조절 → 수 초~분 단위
- 신장 보상: H⁺ 배출 & HCO₃⁻ 재흡수 → 수 시간~수 일 소요
🧨 2. 산증(Acidosis)
✅ 병태생리
pH < 7.35 상태. 원인은 다음 2가지로 나뉩니다.
💥 A. 대사성 산증 (Metabolic Acidosis)
- 중탄산(HCO₃⁻) 농도가 감소하여 생김.
- 원인:
- 산 과다 생성:
- 당뇨성 케톤산증(DKA)
- 젖산산증 (저산소증, 쇼크, 패혈증 등)
- HCO₃⁻ 손실:
- 심한 설사 (장액 내 중탄산 손실)
- 산 배출 저하:
- 만성 신부전: 신장이 H⁺ 배설 못 함
- 산 과다 생성:
- 보상기전: 호흡기계가 CO₂를 과호흡으로 배출 → pH 상승 보조
→ 이를 Kussmaul 호흡이라 함 (깊고 빠른 호흡)
💥 B. 호흡성 산증 (Respiratory Acidosis)
- CO₂ 배출이 줄어들어 혈액에 축적 → H₂CO₃(탄산) 증가
- 원인:
- 환기 저하: COPD, 천식, 폐기종
- 호흡 억제: 마약/진정제 과다, 뇌손상
- 기도 폐쇄, 흉곽 외상, 기흉 등
- 보상기전: 신장이 H⁺를 배출하고 HCO₃⁻를 재흡수하여 완충함
🔍 산증의 ABGA (동맥혈 가스분석) 판독
유형 | pH | PaCO₂ | HCO₃⁻ |
대사성 산증 | ↓ | 정상이거나 ↓ (보상 중) | ↓ |
호흡성 산증 | ↓ | ↑ | 정상이거나 ↑ (보상 중) |
🩺 간호중재 요약
항목 | 중재 내용 |
대사성 산증 | 원인 치료(예: 인슐린 투여), 수액공급, 중탄산염(HCO₃⁻) 투여 고려 |
호흡성 산증 | 기도 확보, 산소 투여, 필요시 인공호흡기 적용 |
💨 3. 알칼리증(Alkalosis)
✅ 병태생리
pH > 7.45 상태. 원인은 다음과 같이 나뉩니다.
💫 A. 대사성 알칼리증 (Metabolic Alkalosis)
- HCO₃⁻ 증가 또는 H⁺ 손실로 발생
- 원인:
- 위산 손실: 구토, 위장관 흡인
- 이뇨제 사용: K⁺ 및 H⁺ 손실
- 항산성제 과용: 중화제 과다 복용
- 보상기전: 호흡을 얕고 느리게 해 CO₂ 축적 유도 (산성화)
💫 B. 호흡성 알칼리증 (Respiratory Alkalosis)
- CO₂ 과다 배출 → H₂CO₃ 감소 → 알칼리화
- 원인:
- 과호흡: 공황발작, 불안, 고열
- 고산병, 패혈증 초기
- 인공호흡기의 과도한 환기 세팅
- 보상기전: 신장이 HCO₃⁻ 배설하고 H⁺ 보존
🔍 알칼리증의 ABGA 판독
유형 | pH | PaCO₂ | HCO₃⁻ |
대사성 알칼리증 | ↑ | 정상이거나 ↑ (보상) | ↑ |
호흡성 알칼리증 | ↑ | ↓ | 정상이거나 ↓ (보상) |
🩺 간호중재 요약
항목 | 중재 내용 |
대사성 알칼리증 | K⁺ 보충, Cl⁻ 보충, 이뇨제 중단, 수액(NaCl) 투여 |
호흡성 알칼리증 | 종이봉지 호흡, 심호흡 훈련, 불안 완화 |
🧾 4. 정리 표 (전체 비교)
구분 | 대사성 산증 | 호흡성 산증 | 대사성 알칼리증 | 호흡성 알칼리증 |
pH | ↓ | ↓ | ↑ | ↑ |
HCO₃⁻ | ↓ | 정상/↑(보상) | ↑ | 정상/↓(보상) |
PaCO₂ | 정상/↓(보상) | ↑ | ↑(보상) | ↓ |
주요 원인 | DKA, 설사, 신부전 | COPD, 약물 | 구토, 이뇨제 | 과호흡, 공황 |
호흡 양상 | Kussmaul 호흡 | 얕고 느림 | 얕고 느림 | 빠르고 깊음 |
전해질 변화 | 고칼륨혈증 | 고칼륨혈증 | 저칼륨혈증 | 저칼슘 증상 |
🔚 팁
- 산증은 주로 혼수·저혈압·호흡기능 저하,
- 알칼리증은 주로 신경과민·저칼륨·근육경련을 동반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