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35

CRRT(Continuous Renal Replacement Therapy, 지속적 신대체요법)에 대해 알아보자 🔍 1. CRRT란?CRRT는 급성 신장 손상(AKI)이나 만성 신부전 말기 환자 중 특히 혈역학적으로 불안정한 환자를 대상으로 시행하는 지속적인 혈액 투석 치료입니다.보통 혈액투석(HD)은 3~4시간 동안 빠르게 체액과 노폐물을 제거하지만,CRRT는 24시간 이상 천천히, 연속적으로 제거하여 심장 부담을 줄이고, 혈압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습니다.⚙️ 2. 원리CRRT는 인공적으로 신장의 여과·재흡수·분비 기능을 대체합니다.혈액을 정맥에서 빼냄필터(hemofilter)를 통해 노폐물, 전해질, 수분 등을 제거정화된 혈액을 환자에게 다시 투입보상성 수액 투입(replacement fluid)과 투석액(dialysate) 사용으로 전해질 및 산-염기 균형 조절🔄 3. CRRT의 주요 방식 (종류) .. 2025. 6. 29.
Whole Body Bone Scan (전신 뼈 스캔)은 무엇일까? 🧬 1. 검사의 원리: 뼈의 대사 활동을 시각화하는 핵의학 검사핵의학 검사란?방사성 동위원소가 부착된 약물(방사성 의약품)을 체내에 투여한 뒤,그 물질이 특정 조직에 모이는 양상을 감마카메라로 촬영해조직의 기능이나 대사 상태를 평가하는 검사입니다.사용하는 방사성 동위원소:Tc-99m MDP (테크네슘-99m 메틸렌 디포스포네이트)→ 뼈 조직과 결합해 **골 대사(뼈의 회전율)**가 활발한 부위에 축적됨.대사율이 높다는 뜻은?뼈가 치유되거나 손상되거나, 병에 의해 자극을 받는 부위는새로운 뼈를 만들기 위해 대사가 활발해집니다.그곳에 Tc-99m이 많이 모이기 때문에 이상이 있는 뼈 부위를 찾아낼 수 있습니다.🛠️ 2. 검사 절차① 방사성의약품 주사Tc-99m MDP를 정맥으로 주사합니다.② 약 2~4시.. 2025. 6. 28.
장기에 따른 SPECT 검사 🧠 1. 뇌 SPECT (Brain SPECT)💡 왜 하나요?뇌혈류 분포를 확인할 수 있어요.뇌의 특정 부위가 제대로 작동하는지 보는 데 도움이 됩니다.💡 어떤 질환에서 하나요?치매 감별 (알츠하이머 vs 혈관성 치매 등)파킨슨병이나 루이소체 치매 감별간질(뇌전증) 발작 부위 찾기우울증, 조현병 등 정신과 질환 감별뇌졸중 이후 회복 상태 평가💡 특징MRI는 구조를 보여주고,뇌 SPECT는 뇌가 얼마나 활동 중인지(기능)를 보여줍니다.💓 2. 심장 SPECT (Myocardial Perfusion SPECT)💡 왜 하나요?심장 근육에 혈액이 잘 공급되는지 확인해요.관상동맥 질환 진단에 아주 중요합니다.💡 어떤 질환에서 하나요?협심증, 심근경색 의심 시운동 중 가슴 통증, 숨참 증상이 있을 때심.. 2025. 6. 27.
SPECT검사는 뭘까요? 🧠 SPECT 검사란 무엇인가요?SPECT는 영어로👉 Single Photon Emission Computed Tomography의 줄임말입니다.우리말로는 단일광자 방출 단층촬영술이라고 해요.조금 어렵게 느껴질 수 있지만,핵심은 “몸속 장기의 기능을 보는 특수한 검사”입니다.MRI나 CT가 장기의 모양을 보는 검사라면,SPECT는 장기의 움직임이나 기능,예를 들어 혈액이 잘 흐르고 있는지, 뇌가 잘 활동하는지 등을 확인합니다.🧪 어떻게 검사하나요?특수한 약물(방사성 동위원소)을 팔에 주사합니다.→ 이 약물은 몸속에서 미세한 감마선을 내보내는 성질이 있어요.이 약물은 혈관을 타고 몸속 특정 장기(심장, 뇌 등)로 갑니다.장기에서 나오는 감마선을 감마카메라가 촬영합니다.→ 여러 각도에서 촬영해 3차원(.. 2025. 6.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