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35 열사병에 대해 알아보자 ✅ 열사병 (Heat Stroke) 정리1️⃣ 정의열사병은 체온 조절 기능이 마비되면서 심부체온이 40.0℃ 이상으로 상승하고 중추신경계 이상이 동반되는 응급질환입니다.신속하게 조치하지 않으면 다발성 장기부전, 뇌손상, 사망까지 이를 수 있습니다.단순한 더위와 혼동되기 쉬우나, 의식 저하와 체온 상승이 함께 나타나면 열사병으로 간주하고 즉각적인 냉각 치료가 필요합니다.2️⃣ 종류고전적 열사병 (Classic Type)주로 고령자, 만성질환자, 비활동성 환자에게서 발생합니다. 환경적 요인이 큽니다.운동성 열사병 (Exertional Type)젊은 연령에서 과도한 운동 중 발생하며, 체온 생성이 증가한 상태에서 열 발산이 제한됩니다. 3️⃣ 위험 요인기온 30℃ 이상 + 고습 환경고령자, 영유아심혈관계, 내.. 2025. 6. 18. 일사병이 뭔가요?? ☀️ 일사병 (Heat Exhaustion) – 상세 정리✅ 1. 정의일사병(heat exhaustion) 은 고온다습한 환경에서 과도한 땀 배출로 인해 체내 수분과 전해질(특히 Na⁺, Cl⁻) 이 손실되면서 발생하는 중등도의 온열 질환입니다.체온 조절 기능은 여전히 작동하고 있지만, 땀을 통한 체온 조절이 한계에 이르러 증상이 발생합니다.💡 열사병(heat stroke)으로 진행될 수 있는 전 단계로 간주되며, 조기 발견과 적절한 처치가 중요합니다.✅ 2. 병태생리고온 환경 노출↓과도한 땀 분비↓수분과 나트륨 손실 → 체액량 감소(저혈량)↓말초 혈관 확장 + 심박수 증가로 체온을 낮추려 하나…↓보상 기전 한계 도달 → 혈압 저하, 근육 경련, 무력감 등 증상 발현✅ 3. 원인🌡️ 고온다습한 환경열.. 2025. 6. 18. 포도당 수액 🍬 포도당 수액 (Dextrose Solution)포도당 수액은 병원에서 가장 기본적으로 사용하는 정맥 수액 중 하나로, 수분 공급, 기초 열량 제공, 저혈당 치료, 약물 희석 등 다양한 목적에 사용됩니다. 포도당(D-glucose)은 체내에서 가장 기본적인 에너지원이며, 농도에 따라 등장성부터 고장성까지 다양한 작용을 나타냅니다.✅ 1. 기본 성분포도당 수액은 다음과 같은 성분 구성을 기준으로 나뉩니다.5% 포도당D-glucose 5g/100mL등장성 (투여 후 체내에서 대사되면 사실상 저삼투압 작용)10% 포도당D-glucose 10g/100mL고장성50% 포도당D-glucose 50g/100mL고삼투압 → 응급 시만 사용5% 포도당 + 생리식염수D-glucose 5g + NaCl 0.9g/100m.. 2025. 6. 18. 생리식염수란? 🧪 1. 생리식염수의 정의정의: 100mL의 정제수에 염화나트륨(NaCl) 0.9g이 녹아 있는 등장성 수용액입니다.삼투압: 약 308 mOsm/L → 우리 혈장(약 275~295 mOsm/L) 과 매우 유사합니다.pH: 5.5~7.0 (약산성이나 체내에 안전)이온 농도:나트륨(Na⁺): 약 154mEq/L염화이온(Cl⁻): 약 154mEq/L💉 2. 용도별 세부 활용📌 (1) 정맥 주사(IV fluid) 용액으로서의 생리식염수적응증경증~중등도 탈수저혈압 시 수액 충전저나트륨혈증 (희석성 제외)수술 전·후 수분 공급속도 조절 예시성인 유지수액: 30~40mL/kg/day응급 저혈압: 500~1000mL bolus 후 반응 관찰✨ 주의: 신부전, 심부전 환자에서는 수분 과부하 주의 필요📌 (2) 약.. 2025. 6. 18. 하트만 솔루션 (Hartmann’s Solution, Lactated Ringer’s Solution) 💧 하트만 솔루션 (Hartmann’s Solution, Lactated Ringer’s Solution)하트만 솔루션은 병원에서 널리 사용되는 정맥 수액제로, 수술 전후, 외상, 탈수, 화상 환자에게 수분과 전해질을 보충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혈장과 유사한 전해질 조성을 가지고 있어 체내 항상성 유지에 매우 효과적입니다. 일반적으로 “RL” (Ringer’s Lactate) 이라는 약어로도 불리며, 간혹 LRS (Lactated Ringer’s Solution) 라고도 표기됩니다.이 수액의 이름은 미국의 소아과 의사 Alexis Hartmann 박사에서 유래되었으며, 기존의 링거액에 젖산염(Lactate) 을 추가하여 산-염기 균형 조절 기능을 강화한 것이 특징입니다.✅ 1. 주요 성분과 작용하트만 .. 2025. 6. 18. Glasgow Coma Scale 🧠 GCS (Glasgow Coma Scale)✅ 1. GCS란?1974년 영국 글래스고 병원에서 개발한 척도로, 의식 수준을 수치화하여 환자의 상태를 평가할 수 있게 만든 평가법입니다.눈(E), 언어(V), 운동(M) 반응 3가지 항목으로 구성되며, 총점은 3~15점 사이입니다.✅ 2. 평가 항목 및 점수 항목 설명 점수 👁️ 눈 뜨기 (E, Eye Opening)자극에 대한 눈 반응 평가1~4점🗣️ 언어 반응 (V, Verbal Response)질문에 적절히 말할 수 있는지1~5점💪 운동 반응 (M, Motor Response)통증/명령에 반응하는 움직임1~6점 👁️ 눈 뜨기 반응 (E) 점수 반응 4점자발적으로 뜸3점말하면 뜸 (음성 자극)2점통증 자극 시 뜸1점반응 없음 (눈 안 뜸.. 2025. 6. 18. 예방접종 스케줄 관리방법! 이젠 너무 쉽다? ✅ 예방접종 스케줄은 어떻게 관리하나요?예방접종은 질병을 예방하고 면역력을 높이기 위한 가장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특히 연령별·상황별로 맞춤형 백신이 정해져 있기 때문에, 국가예방접종표(NIP)에 따라 계획적으로 접종을 진행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질병관리청의 기준을 바탕으로 연령대별 예방접종 스케줄을 자세히 설명드리겠습니다.🍼 1. 영유아 예방접종 스케줄 (출생 ~ 만 6세)영유아 시기는 면역체계가 형성되는 시기로, 여러 가지 감염병에 취약합니다. 따라서 생후 2개월부터 다양한 백신을 접종합니다. 접종 시기 예방접종 내용 출생B형간염 1차 접종을 시행합니다.생후 1개월B형간염 2차 접종을 시행합니다.생후 2개월BCG(피내용), DTaP 1차, IPV 1차, Hib 1차, PCV 1차, 로타바이러스 .. 2025. 6. 18. 🧠 외부 뇌실 배액술, EVD (External Ventricular Drainage) 🧠 EVD (External Ventricular Drainage, 외부 뇌실 배액술)✅ 정의EVD는 뇌실 내에 있는 뇌척수액(CSF) 을 외부로 배액하기 위해 설치하는 관(카테터) 장치입니다. 주로 측뇌실에 관을 삽입하여, 두개외로 연결된 배액백으로 CSF를 배출시킵니다.✅ 목적뇌압 조절뇌출혈, 뇌수종 등으로 인해 증가된 뇌압을 감소시킵니다.감압뇌 손상 악화를 막기 위해 즉각적인 압력 조절 필요 시 사용됩니다.CSF 감염 검사CSF를 채취하여 감염(수막염 등) 여부를 검사합니다.CSF 배출 조절뇌척수액 생성과 배출 간 균형이 깨졌을 때 배출량을 조절합니다.✅ 적응증비교통성 뇌수종 (Obstructive hydrocephalus)외상성 뇌손상 (TBI) 후 뇌압 상승뇌내 출혈중증 뇌수막염기타 수술 후 .. 2025. 6. 18. 인공호흡기에 대해 알아보자 📌 1. 인공호흡기란?인공호흡기(Ventilator)는 환자의 호흡 기능이 약화되거나 정지되었을 때, 폐에 공기를 넣어주는 기계입니다.환자의 상태에 따라 기계가 숨을 대신 쉬게 하거나, 자발호흡을 보조할 수 있습니다.✅ “인공호흡기 모드”란?기계가 언제, 어떻게, 얼마나 숨을 넣어줄지를 설정하는 방식입니다.⚙️ 2. 주요 인공호흡기 모드1️⃣ CMV (Continuous Mandatory Ventilation)💡 완전 강제환기환자의 자발호흡이 전혀 없음기계가 일정한 간격과 양으로 전적으로 호흡을 제공무의식, 마취, 호흡정지 환자에게 사용간호 포인트자발호흡 회복 시 기계와 비동기(asynchrony) 가능성 있음깊은 진정 상태 유지 필요2️⃣ AC (Assist-Control Ventilation)💡.. 2025. 6. 18. 이전 1 2 3 4 다음